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FLEX5
- Java
- 프로그래머스
- binaray_gap
- QA엔지니어
- 백준알고리즘
- 엔테크서비스
- Lesson2
- 언마운트
- 외래키설정
- Lesson3
- FK 설정
- 캐나다워홀
- codility
- 벤쿠버 렌트
- 리눅스
- Linux
- database연결
- 자바
- 벤쿠버집구하기
- 파이도 환불
- BC렌트
- 레노보노트북
- 1463번
- 벤쿠버렌트
- 데이터의 무결성
- 부산입국
- IntelliJ
- 설탕문제
- FIDO 환불
- Today
- Total
목록꼬꼬마 개발자 노트 (197)
대충이라도 하자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OJOc9/btqUzv6gJON/1utyJKYugq4fMXt2kkKCl0/img.png)
*** 비슷한 문제 풀어본 적 있는데 뭐가 그렇게 헷갈렸는지 모르겠ㅜㅜ *** 이 문제에서 제일 중요한 건 횟수가 제일 크게 나오는 값을 전부 배열에 집어넣어 놓고, 최소값을 비교하는 것! 그렇게 되면, 1을 한 번 빼고, 2번 빼고 뭐 그런 걸 계산할 필요가 전혀 없다. *** 그러고 나서 2와 3이 겹치면 어쩌지 고민할 필요 없이 조건문 2개 만들어서 2개 다 실행해서 최소값 구하면 됨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LfJk/btqUGS7p3Wy/aWYxowj6Q13MIp3ck0trqk/img.png)
그러면 Immutable과 mutable은 무엇일까? Immutable은 말 그대로 읽기만 가능하고, Mutable은 읽기, 쓰기가 둘 다 가능하다. modify와 변화(change)는 다르다. -> modify는 일부분만 변경, change는 아예 다른 걸로 대체 List는 우선순위가 있는 해야할 리스트라고 생각 -> 우선순위 뒤에 있는 것보다 먼저 하면 안되기 때문에 순서가 중요, 당연히 중복 되면 안된다. Set는 우선순위가 없는 해야할 리스트 -> 그냥 정해진 기간 안에 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순서 필요 없음, 중복되면 안됨. Map은 메뉴판이라고 생각 -> 피자, 파스타처럼 key 값은 중복되면 안되지만, value인 가격은 둘 다 10,000원 처럼 중복 돼도 괜찮음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g1sE/btqUwy3hr87/W4i0nEsyc6VStLp6nX2aKK/img.png)
62% *** A가 0인 경우를 생각 못했네... *** 세분화해서 예의의 경우, 어떻게 할 것인지 정해야함 ***실전에서는 Test를 많이 만들어서 구해봐야 할 것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ehvDr/btqUtWqdyAb/DtAYurspki1AkwUAmYZhV1/img.png)
66% ( Correctness : 100%, performance : 40%) 이해하기 까다로웠던 문제 다른 사람들 코드를 봐도 이해가 되지 않아 차근차근 이해하는데 시간을 쏟은 듯 100% 나왔다! *** 첫 번째 방법에는 매번 최대값을 구한 다음에, 배열에 다시 넣고, 값을 구했는데 그러다보니 performance가 안 좋아진 거 같다. `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48Ecn/btqUGTZyL7R/Rdh5ov1AKYzSlsdvhj4L21/img.png)
-> 54% (Correctness는 100인데 performance는 0임) 100%!!! *** set끼리 같은지 확인 잘해야 함 (equals) ***위에서는 모든 값을 add 해줬는데 생각해보니 X보다 큰 값은 배열에 안 넣어도 된다.